전월세 임대주, 금융부채 높아..한은 "담보가치 평가 엄격 필요"
전월세 임대주, 금융부채 높아..한은 "담보가치 평가 엄격 필요"
  • 이경석 기자
  • 승인 2019.03.28 13: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세나 월세를 내준 임대가구의 부채구조가 비(非)임대가구보다 취약하고 원리금 상환부담과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임대가구의 평균 금융부채 규모는 비임대가구의 2.7배에 달했다. 

28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금융안정 상황'에 따르면 지난해말 기준 임대가구의 금융부채 규모는 372조4000억원 수준으로 추정됐다. 이들 가구의 평균 금융부채 규모는 1억9000만원으로 비임대가구의 7000만원을 크게 웃돌았다.

한국은행은 빚을 내서 집을 구입한 뒤 임대를 내준 이들의 부채상환 능력이 떨어지는 만큼 담보가치 평가를 엄격히 하는 등 리스크 관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부채 만기 및 상환방식별 비중을 보면 임대가구의 단기(만기 1년 이내, 26.9%) 및 일시상환방식(35.3%) 대출 비중이 비임대가구(20.6%, 26.7%)를 넘어 부채구조가 상대적으로 취약했다. 특히 비주택 임대가구의 단기(36.1%) 및 일시상환방식 대출(40.6%) 비중이 더 높았다.

임대부동산 유형별로는 주택과 상가를 임대준 동시임대(2억5000만원) 및 비주택 임대(2억4000만원) 가구가 1주택(1억6000만원) 및 다주택(1억3000만원) 임대 가구보다 평균 보유부채 규모가 큰 편이었다.

대출종류별로 임대가구의 경우 담보대출이 84.7%, 신용대출이 10.7%로 비임대가구(담보대출 76.4%, 신용대출 16.2%)에 비해 담보대출 비중이 높은 편이었다. 임대부동산 유형별로는 비주택 임대가구의 담보대출 비중이 89.3%로 다른 임대가구를 웃돌았다.

한은 관계자는 "비임대가구의 경우 실거주자 장기 분할상환방식의 주담대가 많은 반면 임대가구의 경우 단기 일시상환방식의 개인사업자 대출이 비주택(상가, 오피스 등)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됐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원리금 상환부담(유량) 및 실물자산을 포함한 임대가구의 재무건전성은 비임대가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졌다. 

임대가구의 DSR(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비율)은 지난해말 기준 40.8%로 비임대가구(28.4%)를 크게 넘어섰다.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도 106.0%로 비임대가구(80.9%) 보다 높았다. 총자산 대비 총부채 비율은 임대가구가 30.1%였다. 한은에 따르면 절대적으로는 낮은 수준이지만 비임대가구(23.1%)에 비해서는 소폭 높다.

또 임대가구 중 DSR 및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비율을 살펴보면 채무상환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가구 비중이 비임대가구보다 높았다. 아울러 임대부동산 유형별로는 다주택 또는 비주택 임대가구가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해 기준 원리금 상환액이 연간 처분가능소득을 상회하고 금융부채가 금융자산보다 많은 임대가구 비중은 금융부채 보유 임대가구(195만1000가구)의 6.8% 수준이었다.

한은 관계자는 "임대가구는 실물자산을 포함한 총자산 측면에서의 채무대응능력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지만, 비임대가구에 비해 단기 및 일시상환 대출이 많아 유동성이 취약하다"며 "금융기관이 대출을 내줄 때 차주의 부채상환능력 및 담보가치 평가를 보다 엄격히 봐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