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자 퇴직 후 취업’ 공정성 높인다
‘공직자 퇴직 후 취업’ 공정성 높인다
  • 편집부
  • 승인 2011.03.02 17: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앞으로 퇴직공직자 취업절차의 공정성이 확보되고 공직자윤리위원회의 재산심사 절차가 개선될 전망이다.

행정안전부는 2일 이 같은내용을 담은 ‘공직자윤리법시행령 개정안’을 마련하고 오는 9일까지 입법예고를 통해 국민들의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개정안에 따르면 퇴직공직자의 ‘우선 취업허가’ 권한이 소속 중앙행정기관의 장(지방자치단체의 장 포함, 이하 같다)에서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로 변경된다.

현재 일정 요건을 갖춘 퇴직공직자는 퇴직 전 3년동안 수행한 업무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업체에는 퇴직 후 2년동안 취업이 제한되지만,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로부터 업무 관련성이 없다는 취업확인결정을 받은 경우에는 취업이 가능하다.

다만, 소속 중앙행정기관의 장은 주주총회, 공개채용 등 불가피한 사유가 있는 경우 우선 취업하게 할 수 있다. 우선 취업한 경우에도 해당 퇴직공직자는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의 업무관련성 여부 등 취업확인을 받아야 하며, 업무관련성이 있어 취업제한 결정을 받은 경우에는 즉시 퇴직해야 한다.

그러나, 우선 취업허가제도가 당초 입법 취지와 달리 소속 중앙행정기관에서 불가피한 사유가 아닌 경우에도 우선 취업허가를 하는 등 자의적으로 운영되는 문제점이 지적돼 왔다.

이에 따라 ‘우선 취업허가’권한을 소속 중앙행정기관에서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로 조정해 퇴직공직자가 불가피한 사유가 있는 경우 관할 공직자윤리위원회에 우선 취업허가를 신청할 수 있게 했다.

또 위원회가 불가피한 사유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우선 취업을 허가하되, 차후에 업무관련성 여부 검토를 통해 취업확인 결정을 하도록 했다.

이와 함께 공직자윤리위원회의 2회 이상 출석요구 불응자에 대해 위원회의 판단에 따라 고발할 수 있도록 절차가 개선된다.

현재 공직자윤리위원회는 재산등록의무자의 재산심사과정에서 필요한 경우 등록의무자, 가족 또는 관계인에게 출석을 요구하거나 진술을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 경우 2회 이상 출석요구를 받은 사람이 출석요구서 수령을 거부하거나 정당한 사유 없이 출석하지 않을 경우 의무적으로 관할 검찰청에 고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정부는 이런 의무적 출석요구제도는 등록의무자 등에 대한 과도한 규제로 지적돼옴에 따라 2회 이상 출석요구에 불응한 경우에도 위원회의 판단에 따라 신축적으로 고발할 수 있도록 변경했다. [데일리경제]

경제일간 - 데일리경제 www.kdpress.co.kr <저작권자 ⓒ데일리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