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대외무역 규모는 32.4억 달러..최대 교역 상대국 '중국'에 대한 무역의존도 높아
북한 대외무역 규모는 32.4억 달러..최대 교역 상대국 '중국'에 대한 무역의존도 높아
  • 이지연 기자
  • 승인 2020.07.24 18: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진=코트라 제공
사진=코트라 제공

 

지난해 기준 북한의 대외무역 규모는 32억 4천만달러로 나타났다.

KOTRA(사장 권평오)가 발표한 ‘2019년도 북한 대외무역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의 수출은 직전년 대비 14.4% 증가한 2.8억 달러, 수입은 직전년 대비 14.1% 증가한 29.7억 달러로 집계됐다. 무역 적자는 2018년도 23.6억 달러에서 2019년도 26.9억 달러로 14.1% 증가해 무역수지가 악화됐다.

2019년 남북교역을 제외한 ‘북한 대외무역 규모’가 직전년 대비 14.1% 증가한 32.4억 달러로  2016년 이후 3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으나, 2018년도 급격한 교역 감소에 따른 기저효과로 UN제재가 본격 시행되기 전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최대 교역상대국인 중국과의 교역은 직전년 대비 13.6% 증가한 30.9억 달러(수출 2.2억 달러, 수입 28.8억 달러)를 기록했으며, 무역적자 역시 14.1% 증가한 26.6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한 전체 교역에서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8년도 95.8%에서 2019년도 95.4%로 소폭 축소됐지만 2년 연속 95%를 넘겨 높은 무역의존도를 기록했다. 원유 수입 추정액 2.9억 달러(2018년은 3.1억 달러 추정)를 제외하더라도 94.9%의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중국에 이어 러시아, 베트남, 인도가 북한의 2, 3, 4위 교역국에 이름을 올렸으며 베트남, 남아프리카공화국, 나이지리아가 새롭게 10위권에 진입했다. 중국, 러시아를 제외한 10위권 국가가 북한 대외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모두 1% 미만으로 미미한 수준이다.

한편 2017년에 채택된 UN결의안에서 대북교역 제재품목을 대폭 늘리면서 결의안의 영향을 받지 않는 경공업 제품이 2018년부터 북한의 주요 교역품목으로 자리잡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북한 최대 수출품목은 시계 및 부분품(HS 91)으로 2018년 1,533.7% 증가율을 기록한 데 이어 2019년에도 57.9% 증가세를 이어가며 수출 1위 품목에 올랐다. 또한 가발이 포함된 조제우모·솜털 및 그 제품(HS 67) 수출은 2018년에 이어 2019년에도 40.9% 늘어나며 수출 3위를 기록했다. 전시용 모형이 포함된 광학·의료기기·부품(HS 90)도 47.5% 증가율을 보이며 수출 5위 품목으로 급부상했다. 북한 현지 노동력을 활용한 임가공 제품이 광물성 연료를 대신해 북한 수출을 견인하는 모양새를 나타내고 있다.

북한 최대 수입품목은 2018년과 같이 원유·정제유 등 광물유(HS 27)로, 3.5억 달러를 수입해 전체 수입의 11.7%를 차지했다. 이외에도 플라스틱 및 그 제품(HS 39), 인조필라멘트 섬유(HS 54), 동식물성 유지 및 분해생산물(HS 15) 등 수입 상위품목은 직전년과 다르지 않으나, 식량부족 영향으로 곡물(HS 10) 수입이 직전년 대비 242% 증가세를 기록하며 새롭게 수입 5위를 기록한 점이 눈에 띈다.

KOTRA는 “2019년 북한 대외교역은 중국 편중현상, 경공업 품목 위주 수출입 증가 등 전체적인 교역 틀이 직전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며 “2018년 교역 급감에 따른 기저효과로 지난해 전체 교역규모가 반등하기는 했지만, 코로나19 영향으로 올해 5월까지 북한-중국 교역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감소한 것을 봤을 때 2020년에는 교역 증가세가 지속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