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제외 IT 수출액 5년 연속 감소..ICT산업 부진 확대
반도체 제외 IT 수출액 5년 연속 감소..ICT산업 부진 확대
  • 이원섭 기자
  • 승인 2019.03.18 1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우리나라의 반도체를 제외한 정보기술(IT) 수출액이 2013년을 정점으로 5년 연속 감소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ICT수출입통계'를 분석한 결과, 집계가 시작된 1996년부터 2018년까지 통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7일 밝혔다.

IT산업 20개 품목 중 반도체를 제외하고 수출이 증가한 품목은 5개뿐이고, 올해 들어 반도체 수출이 20% 넘게 감소하고 있어 반도체 착시효과가 걷히면 IT산업 수출위기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경연 분석에 따르면 IT산업이 총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96년 32%, 2005년 37%, 2018년 36%로 3분의 수준을 유지해 왔다. 수출액은 1996년 412억달러에서 2018년 2204억달러로 연평균 7.9%씩 꾸준히 확대됐다.

특히 2016년 1625억달러에서 2018년 2204억달러로 최근 2년간 연평균 16.5% 늘어나며 수출 효자산업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반도체를 제외하면 2018년 IT산업 수출액은 922억달러로 2010년 이전 수준으로 후퇴했다.

반도체를 제외한 IT산업 수출은 2013년 1155억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IT산업은 전자부품, 컴퓨터 및 주변기기, 통신 및 방송기기, 영상 및 음향기기, 정보통신응용기반기기 5개 부문으로 구성된다.

이 중 반도체를 포함한 전자부품 부문을 제외하면, 나머지 4개 부문의 IT산업 수출 비중 합계가 1996년 54%에서 2018년 25%로 절반으로 줄었다.

부문별로 통신 및 방송기기는 2008년 28%로 정점을 찍은 후 2018년 8%로 축소됐다. 컴퓨터 및 주변기기는 2000년 23%로 정점을 찍은 후 2018년 5%로 축소됐다. 영상 및 음향기기는 1996년 17%에서 2018년 1%로 존재감이 미미해졌다.

정보통신응용기반기기가 9~12%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는 의료용기기와 측정제어분석기기의 수출이 2000년대부터 규모는 작지만 수출액이 늘고 있는 덕분으로 분석됐다.

한경연은 "반도체 등 전자부품을 제외하면 차기 IT산업을 이끌어갈 뚜렷한 유망수출품목이 보이지 않는 상황"이라고 우려했다.

IT산업의 5개 부문은 다시 20개 품목으로 세분화되는데, 2015년 이후에도 수출액이 늘어난 품목은 반도체, PCB(회로기판), 측정제어분석기기 등 6개뿐이었다. 이 중 반도체를 제외한 5개 품목이 2018년 IT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2%에 그쳤다.

IT산업 주력제품 중 우리나라가 글로벌 경쟁력 최상위권으로 평가받는 상당수 제품의 수출액도 이미 수년 전부터 감소세에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LCD, OLED 등 평판디스플레이 수출액은 2013년 393억 달러로 총수출의 7.0%를 차지하는 대표제품이었으나 작년 278억 달러까지 하락했다. 휴대폰 수출액은 휴대폰 완제품 수출이 정점을 찍은 2008년 334억 달러(총수출의 7.9%)까지 증가한 후 감소했다가 휴대폰 부품 수출이 늘면서 2015년 300억 달러로 반등 후 다시 줄었다. 휴대폰 수출은 2018년 146억 달러로 최근 3년 새 반 토막이 났다.

지난해 12월 8.4%로 감소 전환한 반도체 수출은 올해 들어 하락 폭을 키우며 20% 넘는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4차 산업혁명 등으로 반도체 수요는 견조하게 유지될 것으로 보았지만 이마저도 올해 1월 2.6% 감소했다.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는 지난 2월 전망보고서를 통해 올해 전 세계 반도체 시장 수요가 3.0% 감소하며, 특히 우리 반도체 수출의 73.4%(2018년)를 차지하는 메모리 반도체 수요가 14.7%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추광호 한국경제연구원 일자리전략실장은 "20년 넘게 수출 효자노릇을 톡톡히 해낸 IT산업이 수출 붕괴 조짐을 보인다"며 "특히 올해 들어 반도체 수출이 20% 넘게 감소하고 있어 반도체 착시효과가 걷히면 IT산업 수출위기가 본격화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추광호 일자리전략실장은 이어 "경제 재도약을 위해서라도 제조기반을 되살리는 특단의 대책이 필요하다"며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과감한 규제개혁, 노동시장 경직성 개선, 기업활동을 촉진하는 조세 환경 정비 등 제조업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한 종합대책을 일관되게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