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AI등 4차산업혁명 기술 활용, 보안 산업 활성화 나선다
정부, AI등 4차산업혁명 기술 활용, 보안 산업 활성화 나선다
  • 이영근 기자
  • 승인 2019.01.08 12: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료사진=과기정통부 제공
자료사진=과기정통부 제공

정부가 융합보안 시장 활성화를 통해 오는 2022년까지 국내 정보보호 시장을 14조원 규모로 키우고 전문인력을 9000명 배출한다는 계획을 밝혔다.

정부는 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유영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주재로 열린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민간부문 정보보호 종합계획 2019'를 심의했다.

정부는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가 폭발적으로 늘면서 이를 노리는 사이버 공격도 함께 증가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 신기술로 무장한 사이버 안전망 구축에 나설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해 12월 문을 연 사이버보안 빅데이터센터를 통해 6억건 이상의 위협정보를 확보하고, AI로 사이버 공격을 조기 탐지·대응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또 최근 연이은 해킹으로 문제가 된 IP카메라 등 사물인터넷(IoT)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취약점을 자동으로 찾아주는 '지능형 IoT 기기 취약점 탐지·분석체계'를 가동한다.

아울러 사이버 보안의 필요성이 기존 정보통신기술(ICT) 분야뿐만 아니라 스마트 팩토리, 디지털 헬스케어, 자율주행차 등 다양한 융합산업으로 확산함에 따라 부처간 협력을 통해 산업별 사이버안전 기준을 새로 마련할 계획이다. 기존 네트워크 중심의 정보보호 법제도 IoT 기기 등 융합 분야까지 적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도록 정비한다.

정부는 민간의 융합보안 수요 창출을 위해 의료·교통·공장 등 분야별 보안 모델을 개발해 실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사이보보안 빅데이터 센터를 통해 기업의 신제품 개발을 지원하고, '코리아 IT펀드' 내에 정보보호 분야를 신설해 투자 활성화에 나선다. 이와 함께 '소프트웨어 사업 대가산정 가이드' 개정을 통해 보안 제품과 서비스가 제값을 받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융합보안 기술 확보와 인력 양성도 추진된다. 정부는 데이터, 네트워크, AI 등 핵심 인프라 보호기술 개발을 위해 5년간 3700억원 규모의 정부 연구개발(R&D) 투자를 추진하고, 융합보안 대학원 석사과정 신설 등을 통해 2022년까지 정보보호 전문인력 약 9000명을 배출할 계획이다.
정부는 이번 계획을 통해 2017년 기준으로 약 9조5000억원 수준의 국내 정보보호 시장을 2022년 14조원 규모로 확대해 일자리 1만개를 창출하고, 미국·중국 수준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과기정통부는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2022년까지 약 8500억원의 예산 투입이 필요하다"며 "이번 계획을 기초로 매년 종합계획을 현행화하고 추진 실적 점검과 개선사항 발굴을 위한 민관협의회를 연 2회 개최할 것"이라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