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0만원에 상장 지주회사 전체 흔들? 한경연 "다중 대표 소송 도입시 외국인 놀이터 될 것"
350만원에 상장 지주회사 전체 흔들? 한경연 "다중 대표 소송 도입시 외국인 놀이터 될 것"
  • 안민재 기자
  • 승인 2018.12.10 15: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50만원에 상장 지주회사 전체가 흔들?

SBS뉴스화면 캡처
SBS뉴스화면 캡처

 

경제계가 다중대표소송 도입 움직임에 반대의사를 분명히 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9일 다중대표소송제도가 상장 지주회사에 미치는 영향 분석을 통해 다중대표소송이 도입되면 '상장 지주회사는 외국인의 놀이터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다중대표소송'이란 모회사 주주가 불법 행위를 한 자회사 혹은 손자회사 임원을 상대로 손해배상소송을 제기할 수 있는 제도를 말한다.

◇"해외 투기자본, 쉬운 소송 지렛대로 지주회사 좌지우지" 우려

한경연에 따르면, 다중대표소송 도입 관련 상법개정안 중 고(故) 노회찬 의원과 이훈 의원의 법안은 단독주주권을 소송 요건으로 정하고 있기 때문에 지주회사 주식 1주만 있어도 소송이 가능하다. 단독주주권이란 주주가 단 1주라도 가지고 있으면 소송 등을 행사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특히 노회찬 의원안에서 소송 가능한 계열사는 '사실상 지배회사'이기 때문에 상장 지주회사 시가총액 184조원의 0.000002%에 해당하는 금액(350만원, 11.13 기준)만으로 90개 상장 지주회사 소속 1188개 전체 계열회사 임원에게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350만원은 90개 상장 지주회사의 1주 가격의 합계(11.13 종가 기준)를 말한다.

대표적으로, 6만8100원(11.13 종가기준)인 LG그룹의 지주회사 (주)LG 주식 한 주 만 있으면 모든 계열회사(65개)의 임원에게 손해배상 소송을 제기할 수 있다. 또한 (주)GS 주식 1주(5만1700원)만 있으면 GS그룹 모든 계열회사(40개)에 소송 제기가 가능하다.

채이배 의원 안의 경우 1억2000만원만 있으면 (주)LG 자회사 중 13개에 소 제기가 가능하다. 김종인 의원, 오신환 의원, 이종걸 의원이 발의하고 법무부가 지지하고 있는 '상장 모회사 지분 0.01% 이상 보유' 및 '지주회사의 자회사 지분 50% 이상 보유' 안을 적용하면 184억4000만원으로 90개 상장 지주회사의 자회사 중 72.1%(408개)의 기업에 다중대표소송을 할 수 있다. 20억원 만 있으면 자산규모 453조원 규모(18년 6월말 기준)의 신한금융지주 자회사 14개에 소제기가 가능하다. 적은 금액으로 자산 수백조원 규모의 금융 그룹을 흔들 수도 있게 된다.

◇단돈 몇 만원에 우리 기업 핵심기밀 유출 우려

노회찬 의원안과 채이배 의원안은 장부열람권 조항도 포함하고 있어 기업에게 더 큰 위협으로 작용하고 있다. 노회찬 의원안의 경우 모회사 주식을 1주만 갖고 있어도 모회사가 30% 이상 지분을 갖고 있는 자회사의 회계장부 열람이 가능하다. 지주회사의 몇 만원 짜리 주식 1주만 갖고 있어도 그 자회사의 장부를 모두 열람할 수 있는 것이다. 장부는 기업의 원가정보, 거래관계, 장기사업계획, 연구개발(R&D) 세부현황을 모두 담고 있어 장부를 열람한다는 것은 기업의 기밀을 보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해외의 경쟁기업이 이 제도를 악용할 경우 지주회사의 주식을 한 주 구입한 후 자회사의 기밀을 모두 엿볼 수 있게 된다. 가령 해외의 석유화학 또는 배터리 업체가 27만1500원(11.13 종가기준)으로 SK그룹의 지주사 (주)SK 주식 한 주를 산 후 SK이노베이션의 회계장부를 열람하여 SK이노베이션의 기밀을 빼낼 수 있다.

채이배안의 경우에도 각각 1억9000만원(11.13 종가기준)만 있으면 SK이노베이션의 장부 열람이 가능하다. 해외의 경쟁회사는 우리 기업의 기밀을 빼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적은 지분으로 소송을 다수 제기하여 경영활동을 방해할 수도 있다.

한경연은 대표소송제도가 있는 상황에서 굳이 상법상 기본원칙인 법인격 독립의 원칙을 부인해가며 다중대표소송을 도입하는 것에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다중대표소송을 명문으로 입법화한 나라는 전세계에 일본 밖에 없고 미국, 영국 등은 판례로 인정하지만 완전 모자회사 관계를 요구한다는 점에서 기업을 대상으로 한 실험적인 입법의 자제를 촉구하고 있다.

유환익 한경연 혁신성장실장은 "어려운 경영상황 속에서 다중대표소송이 도입되면 기업에게 또 하나의 족쇄가 될 것"이라며 "기업에게 부담을 주는 제도를 도입할 때는 제도 도입이 미칠 영향이나 다른 나라에 보편적으로 도입되었는지 여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