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MC D-1, 금리 금통위, 내수·고용 우려↑…국책연구기관 "동결" 강조
FOMC D-1, 금리 금통위, 내수·고용 우려↑…국책연구기관 "동결" 강조
  • 이영근 기자
  • 승인 2018.11.07 17: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미국의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한미 금리 역전 폭 확대에 따른 부작용 우려도 커지고 있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오는 7~8일(현지시간) 열리는 11월 FOMC와 12월 18~19일(현지시간) 중 기준 금리를 1회 올릴 예정이다. 내년에는 3회 더 인상할 계획이다.
 
현재 시장에서는 11월과 12월 FOMC 중 12월 기준 금리 인상을 더 유력하게 본다. 그래서 11월이 더 중요하다. 11월 동결 시 12월 인상이 기정사실로 되기 때문이다. 또 11월 FOMC에서 기준 금리를 올리지 않더라도 미리 움직이는 시장 특성상 성명서 문구에 따라 흔들릴 가능성이 커 주목해야 한다.
 
김두언 KB증권 연구원은 "12월 금리 인상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이번 11월 회의는 중요도가 떨어지는 회의로 생각할 수 있지만,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생각보다 클 수 있다"며 "위험요인과 관련해 최근의 금융시장 조정을 포함할지 여부와 인플레이션 압력에 대한 표현이 강화될지 등 성명서 문구 변화 가능성을 주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10월 미국 고용지표가 호조를 보인 만큼 인플레이션 전망에 대한 문구가 어떻게 나올지 관심이 집중됐다. 임금 상승률이 2009년 이후 처음으로 연간 기준 3%를 넘어서면서 이를 토대로 미 연준이 통화 긴축을 더 강하게 주장할 수 있는 상황이다. 실제로 미 연준은 지난 9월 성명서에서 '완화적 통화정책'이라는 표현을 삭제했다. 미국의 연내 기준 금리 인상 가능성이 그만큼 높다는 의미다.
 
미국이 예정대로 기준금리를 올리고 한은이 11월 30일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를 동결하면 한미 금리 역전은 1%포인트까지 벌어진다. 이 경우 이미 빠져나가기 시작한 외국인들의 투자자금이 더 빠른 속도로 이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통위에서 금리 인상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매달 늘고 있다. 10월 금통위원들의 정책 성향은 매파(긴축) 5명, 중립 1명, 비둘기파(완화) 1명이었다. 대부분 금통위원이 국내 경제에 대한 낙관적인 시선을 거둔 것이다.
 
한은이 성장세가 둔화하고 있는 국내 경제를 생각해 금리를 동결하면 '실기론'과 함께 통화정책 실패론에 직면하게 될 가능성이 크다. 반면 금리를 올리면 경기침체를 부채질했다는 비난을 받을 수도 있다. 어떤 결정을 내리더라도 이주열 한은 총재를 향한 비난의 목소리는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최근 들어 국책 연구기관들이 더 강하게 금리 동결을 강하게 주장하고 나서 이 총재의 고민이 깊어졌다.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미국이 정책금리를 내년 3회, 2020년 1회 각 0.25%포인트씩 올려 3.5%까지 높인다고 가정했을 때 금융시장 자본 유출입 규모는 분기 GDP 대비 0.1% 순 유출에 그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올해 내수 경기 둔화와 고용 부진으로 내년 물가 상승률이 1%대로 예상되는 만큼 현재 수준의 통화정책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