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사드보복 없으리란 법 없다...사드 갈등 이후 대 중국 수출 전략은?
제2의 사드보복 없으리란 법 없다...사드 갈등 이후 대 중국 수출 전략은?
  • 최은경 기자
  • 승인 2017.12.11 23:4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참고사진
참고사진

 


지난 10월 31일 사드 갈등을 겪던 한국과 중국이 양국 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을 다하기로 한 이래 한중 정상회담을

통해 사드갈등이 봉합됐다.


2016년 상반기 우리 정부가 사드 배치를 공식화한 이후 계속되던 한·중간 갈등이 마침내 해빙분위기를 맞은 것이다.

한중간 사드갈등에 이은 중국측의 보복으로 한국의 대중국 무역 및 관광, 한류콘텐츠등 다방면에서 타격을 면하지 못

했다.

특히, 자동차와 한국 단체 관광 및 한류 콘텐츠 방영 금지, 롯데등 유통부문의 규제등으로 한국 기업들은 큰 폭의 매

출 감소로 적지 않은 타격을 받았다. 이에 사드갈등이 사실상 해소된 지금, 중국 수출 전략의 변화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연구원의 12월 발간자료에 따르면, 사드갈등을 기회로 중국과의 비즈니스에 있어서 새로운 시

각으로 접근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먼저 사드 갈등은 한국에 적지 않은 타격을 입힌 것이 사실이다. 반면,사드 갈등에도 불구하고 2017년 1월과 8월 중

대중국 수출은 반도체가 50%가 넘는 높은 수출 증가세를 보인 덕분에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2.0% 증가했지만 이중 소비재는 3.1% 소폭 증가하는데 그쳤다.

특히 생활용품(-18.3%), 농수산식품(-9.3%), 패션의류(-5.3%)가 금년 들어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전환하거나 감소폭이

확대되었고 최근 5년간(2012∼2016) 연평균 188.2%의 고성장을 거듭하던 화장품은 사드 갈등이 본격화된 금년에도

16.4%의 두 자리대 증가세를 이어 나갔으나 증가폭이 크게 둔화되었다. 유망 소비재 중 의약품만 유일하게 26.1%나

증가하며 향후 수출 확대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사드의 영향으로 중국의 소비재 수입 시장에서 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5년 4.8%에서 2017년 1∼8월 중 2.9%로 축

소되었다. 중국의 빠른 도시화와 중산층 증가로 소비재 시장 규모가 확대되면서 중국의 미국, 일본, 독일 등 주요국

으로부터 수입은 2017년 1∼8월 중 증가세를 보였으나 한국산 소비재 수입은 –4.0%를 기록하면서 중국 소비재 시장이

호황기에 접어든 시점에 우리 제품만 소외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조빛나 연구위원은 "사드 합의에도 불구하고 양국 협력이 이전 수준으로 정상화되고 중국 소비자의 반

한 감정이 복원되기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특히 "우리 기업들도 갈등관계에 있는 일본

, 대만은 물론 어떤 국가라도 중국과의 정치·외교적 이슈가 불거질 경우 경제 보복의 대상이 될 수 있음을 경험하였

기 때문에 사드갈등은 대중국 비즈니스를 바라보는 새로운 인식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조 연구위원은 "중국이 2012년 일본과의 조어도 분쟁과 이번 사드를 둘러싼 갈등에서도 볼 수 있듯 정치적 이슈를 무

역, 경제와 연관시켜 해결하려는 움직임을 보여 왔다.특히 세계 경제 및 무역에서 중국이 미치는 영향력이 커져

향후 중국이 무역의 무기화(China’s weaponization of trade)1)는 재발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하고 중국에 대한

수출 의존도가 25%를 차지할 만큼 높은 우리나라는 이러한 리스크에 더욱 노출될 수밖에 없는 상황임을 강조했다.

이는 곧, 중국 경제의 성장률 둔화 및 성정정책 변화, 중국과의 기술격차 축소에 따른 경쟁심화와 더불어 중국 비즈

니스를 고려 시 중국의 정치적 리스크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중국 수출이 2년 연속 마이너스 성장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한류 및 한국 콘텐츠에 대한 인기로 꾸준히 증가하던 화장품, 식품 등 소비재 수출이 사드 이후
직·간접적인 영향에 노출되면서 매출에 타격을 입은 바 있다.

따라서, 사드갈등을 교훈 삼아 대중국 수출에 있어서 전략적인 대응이 필요하다

보고서는 이번 사드 갈등을 경험하며 우리나라 기업들에게도 정치적 이슈의 경제·통상 관계로의 전이가 중국 비즈니스 시 고려해야 할 가장 중요한 리스크로 부상했다는 점을 지적했다.

기업차원의 공공관계 위기관리는 단기간 내 소비자를 설득하고 성장 모멘텀을 찾기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기(Tianyang, 2012) 때문에 정치적 분쟁에서 기업이 마케팅을 통해 할 수 있는 것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이에 정부, 민간, 개별 차원에서 발생 가능한 리스크별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리스크 발생 시 피해의 최소화할 수 있는 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대표적으로 사드 기간 중 한국 콘텐츠의 방영을 중단되면서 한류에 힘입어 간접적인 마케팅 효과를 얻었던 화장품, 패션의류, 식품 등 소비재들이 고전한 바 있고, K-Pop, K-Drama 등을 활용한 한류 마케팅으로 큰 덕을 보았던 한국
소비재 기업들은 한류의 인기가 소멸된 이후 막대한 자금력으로 마케팅을 펼치는 글로벌 기업들과 어떻게 차별화 할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다.

일본의 경우 조어도 분쟁 시 일본 기업들은 매출 감소의 원인을 단순히 정치적 문제뿐만 아니라 경쟁력 약화로 보고, 중국 시장에 적합한 모델 개발 및 맞춤형 서비스개발 등 중국 현지화를 위한 노력을 추진하기 시작했고, 독일의 내구성, 유럽·미국의 프리미엄, 일본의 장인 정신처럼 한국의 한류도 일시적 유행이 아닌 확실한 문화적 프리미엄 및 Identity로 자리 잡아야 소프트 파워의 역할 지속이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초기 시장진입을 위한 한류 마케팅에서 벗어나 브랜드 자체의 인지도를 높일수 있는 마케팅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