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최순실 리스크, 조기해소 못할시에 내년 경제 부정적 전망..현대경제연구원
하반기 최순실 리스크, 조기해소 못할시에 내년 경제 부정적 전망..현대경제연구원
  • 최은경 기자
  • 승인 2016.12.26 19: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내외적으로 악재에 도사린 한국경제가 심각한 불황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파악됐따.

현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예상치 못한 정치 불확실성이 가계와 기업의 경제심리를 악화시켜 내수 부문의 어려움을 가중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민간소비와 설비투자의 침체 강도는 경제가 감내할 수준을 넘어서고 있으며 그동안 성장을 견인하던 건설 부문도 경기가 크게 약화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특히 고용시장이 냉각될 조짐이 나타나는 가운데 물가가 수요측 요인이 아닌 공급측 요인으로 상승압력이 높아지고 있어 서민경제가 어려워질 가능성이 점증하고 있다. 다만 수출 부문에 일부 반등 신호가 나타나고 있는 점은 그나마 긍정적인 요인으로 평가되고 있는 부분이다.

올해 하반기 최순실 국정농단 게이트등 예상치 못한 국내 정치 리스크가 발생했다. 현대경제연구원은 파급영향이 커 조기에 리스크가 해소되지 않을 경우, 2017년 상반기 경기 흐름에 매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높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현실적인 문제로 정책 당국이 경기 하방 리스크에 대응할 여력이 제한되어 보인다. 

 지난 9월에 2017년 한국 경제를 전망할 당시에는 국내 경제 주체 심리는 대체로 개선되는 모습을 보여 정책적인 대응 여하에 따라 경기 회복세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러나 예상치 못한 정치 리스크 발생으로 인한 경제주체들의 심리가 급속도로 악화되고 있으며 특히 소비심리의 냉각은 심각한 수준이다. 또한 최근 관리 중심으로 선회되고 있는 부동산 대책 시행으로 한국 경제를 버텨왔던 건설경기의 둔화 속도가 예상보다 빠르게 진행될 가능성도 내수경기의 회복을 장담하지 못하게 한다. 

정치 리스크가 조기에 해소되지 않을 경우 내수 경기 불황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하면서 현대경제연구원은 2017년 한국 경제성장률을 기존 전망치(2016.9월 전망) 2.6%에서 0.3%p 하향조정한 2.3%를 제시한다. 전반적인 경기 흐름은 상반기보다는 하반기가 개선되는 ‘상저하고’의 모습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나 그 회복세는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했다. 

 2017년 민간소비 증가율은 2%를 상회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소비심리 위축, 고용시장 악화 등 경기적 요인과 가계부채 원리금 상환부담, 주거비 부담 증가 등 구조적 요인이 지속적으로 가계의 소비를 위축시킬 것이다. 

 시장 안정화로 돌아선 부동산 정책, 과잉 공급, 금리 상승 가능성 확대 등으로 주택 수요는 감소하고, SOC 투자 예산 축소에 따른 공공부문 건설투자도 둔화되면서 2017년 건설투자 증가율은 2.5%로 둔화될 전망이다. 대내적 경제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기업들의 투자심리 개선이 제약되겠으나, 수출 확대로 인해 2017년 설비투자 증가율은 2.0%를 기록할 전망이다. 

 2017년 수출은 4.8%, 수입은 7.4%로 2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한편 무역수지 약 835억 달러, 경상수지 약 830억 달러 내외로 흑자 규모는 소폭 줄어들 전망이다. 

 2017년 고용 여건은 지속적으로 악화될 전망이다. 취약 업종에 대한 구조조정이 본격화되고 산업연관효과로 서비스업 부문 역시 고용 사정이 악화될 우려가 높다. 이에 더해 최근 정치적 불확실성의 확대로 기업들의 신규 채용이 더욱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 국내 물가는 원자재 가격 상승 및 원화 가치 하락으로 상승세가 소폭 확대될 전망이다. 다만 국제 유가의 제한적 상승, 국내 수요 부진 확대, 주택경기 둔화 등으로 상승폭은 제한적인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2017년 한국경제의 상황은 객관적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경제주체들의 심리를 냉각시켜 불황 국면이 지속될 상당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반대로 생각해 보면 심리적 요인이 그 불황의 상당한 원인이기 때문에 경제주체들의 심리안정을 도모할 수만 있다면 2017년 한국경제의 상황을 비관적으로만 볼 것은 아니라고 판단된다. 

글로벌 경제의 디커플링으로 유발되는 금융시장 리스크가 실물 경제로 파급되는 경로를 차단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