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유, 라면, 김등 한국산 식품, 한류 힘입어 중국에서 선전
분유, 라면, 김등 한국산 식품, 한류 힘입어 중국에서 선전
  • 이원섭 기자
  • 승인 2016.03.25 21: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산 식품이 중국 시장에서 승승장구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중국 북경 지부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산 식품은 한류에 힘입어 중국 수입시장에서 점유율 5%대를 눈앞에 두고 있다.   

설탕과 분유, 음료, 라면, 김 등으로 다양화 된 한국산 식품은 최근 대중국 수출의 부진에도 불구하고 선전하고 있는 품목이다.

2011년에 3억 달러에 불과했던 한국산 식품 수출은 지난해 6억 달러로 2배 이상 상승하면서 중국 수입시장에서 5% 점유율 돌파를 앞두고 있다.

한국산 농식품(농축수산물)의 對중국 수출액(중국 통계기준, 이하 동일)은 2011년 6.2억 달러에서 2015년 8.3억 달러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특히 한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가공식품 수출액은 2011년에 3.0억 달러에서 지난해 6.2억 달러로 2배 이상 급증하여 매우 양호한 성적표를 선보였다. 연평균 20.3%라는 높은 성장세를 유지한 셈이다. 이로 인해 중국의 가공식품 수입시장 중 한국산의 점유율은 2011년도 3.5%에서 2015년에 4.5%로 뛰어 올랐다.


품목별로는 설탕과 조제분유의 수출규모가 각각 9,587만 달러와 8,727만 달러에 달해 전체 수출을 선도하고 있다. 특히 조제분유는 높은 성장세(2015년 28.8%)를 유지하고 있어 올해에는 1억 달러 돌파가 예상된다. 새로운 수출 강자들도 나타나고 있다. 지난해 과일주스는 3배가 늘어 1천만달러대 수출품목에 얼굴을 내밀었으며, 라면과 맥주도 2천만 달러 전후의 수출액을 기록하였다. 김도 건강식품으로 인식되면서 반찬은 물론 스낵으로 인기를 누리고 있다.

우리나라가 중국에 수출한 농식품 중에서 일부 품목은 매우 높은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조미김은 수입시장에서 65.1%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어 2008년 이후로 독보적인 1위를 기록 중이다. 조미김 수출액은 2011년에 560만 달러에 불과했으나 지난해 5,408만 달러로 10배 정도 늘어 연평균 증가율이 76.2%에 달했다.

라면의 對중국 수출액은 최근 5년간 연평균 36.9%로 크게 성장했으나 수입대상국 순위는 오히려 2011년 1위에서 2015년 2위로 낮아져(1위는 타이완) 중국 라면시장에서의 치열한 경쟁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조제분유와 생우유 등 유제품은 한국이 중국의 수입시장에서 각각 3.5%(9위)와 5.6%(4위)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는데 글로벌 유제품 강국들이 중국시장에서 각축전을 벌리고 있음을 감안할 때 비교적 선전하고 있다는 평가다.

중국에서 가공식품 기업들의 판촉전도 매우 뜨거운 상황이다. 조미김 수출업계는 김을 밥과 같이 먹는 반찬과 함께 심심풀이 간식과 스낵용으로 현지화하고 있다. 밥 없이 먹는 스낵용 김, 건강을 중시하는 풍조를 감안하여 소금이나 기름 비중을 줄인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주류업계는 기존 소주와 맥주 외에 과일을 접목하여 건강을 고려하면서도 색이 화려한 저도수 과일소주를 무기로 중국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이들은 교민 위주의 마케팅이 한계에 있다고 보고 중국 젊은 층에게 파고드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는 온라인을 통해 술을 파는데 규제가 없고 한국 드라마를 통해 한국 주류문하에 익숙한 젊은층이 두터워 향후 매출증대가 기대된다. 서울유유와 연세우유 등 10여개 유제품 업체들도 중국 소비자들에게 한류효과와 한국제품에 대한 높은 신뢰도를 무기로 밀착 마케팅을 전개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호주와 뉴질랜드산 신선우유가 항공기를 통해 중국 시장에 들어오면서 우유 수출 신장세가 다소 주춤했지만 한국과 중국 간에는 운송기간이 짧고 비용이 저렴한 배로 운송하기 때문에 통관만 원활하다면 원가측면에서 경쟁력이 있다고 전문가들은 분석한다. 

한국무역협회 북경지부 최용민 지부장은 “한·중 FTA에서 우리의 농식품은 개방대상에서 대부분 제외되었지만 중국의 농수산물은 90%가 넘는 품목을 개방했다”면서 “높은 가공기술을 적극 활용하고 현지 입맛을 고려한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다면 최근의 수출부진을 극복하는데 농식품이 지렛대 역할을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