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당히 살찌면 우울증 위험 낮다
적당히 살찌면 우울증 위험 낮다
  • 데일리경제
  • 승인 2008.06.09 12:0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적당히 살찌면 우울증 위험 낮다

비만은 고혈압, 당뇨병 등 만성 성인병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심리적 악영향을 끼쳐서 정신건강에도 좋지 않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적당한 비만은 오히려 정신건강에 좋다는 흥미로운 연구결과가 나왔다.

한림대성심병원 가정의학과 조정진 교수팀이 전국 329개 회사의 20~60세의 직장인 8,121명(남: 5,231명, 여: 2,89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신체측정결과로 비만과 우울증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만(BMI 25이상) 여성은 정상체중군과 비교해서 우울증 위험이 0.7배 줄어들고, 경도비만 전단계인 표준 및 과체중군(BMI 18.5~24.9)에서는 체질량지수가 1씩 증가 할수록 우울증 위험이 0.93배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남성에서 체질량지수와 체중은 우울증과 관계가 없었다.

반면 남녀 모두 저체중 군(BMI 18.5 미만)에서는 정상체중과 비교해서 우울증 위험이 여자는 1.42배, 남자는1.3배 증가했고, 고도비만군(BMI 30 이상)에서는 여자 1.47배, 남자는 1.79배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비만이 정신건강 상의 문제가 된다는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결과로써, 한림대성심병원 가정의학과 조정진 교수는 "고도비만이 아닌 경우 반드시 비만이 우울증 위험을 높인다고만은 볼 수 없다"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한국인의 경우 마른 체형보다는 다소 풍만해 보이는 체형의 소유자들이 상대적으로 자신의 체형에 대한 자기 만족도가 높을 수 있고, 성격도 유연하고 긍정적인 사고를 가진 경우가 많기 때문으로 생각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조정진 교수는 "비만도를 체중과 관련된 기계적인 평가만으로 판단할 것이 아니라, 성인병의 유무 등 개인의 전체적인 건강상태를 종합해서 진단해야 하며, 개인의 특성에 맞는 개별화 및 체계화된 비만관리를 해야만 전체적인 질병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는 전국 329개 회사에서 20~60세 근로자를 임의적으로 표본 추출하여 한국어판 역학연구용 우울척도(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이하 CES-D)를 이용한 설문지 조사와 건강진단의 신체측정결과 자료를 분석하여 이루어졌으며, 지난 5월 14~17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개최된 16차 유럽비만학회에서 '한국의 직장인에서 비만과 우울의 관련성'이란 제목으로 포스터 발표되었다.

■ 우리나라 성인의 32%는 비만

비만은 신장과 체중을 이용하여 비만 여부를 판정한다. 대표적인 진단기준인 체질량지수(BMI)는 체중(kg)÷신장(m)² 로 구한다. '아시아 태평양 기준'에 따르면 수치가 남녀 모두 18.5 미만이면 저체중, 18.5~22.9는 정상(표준), 23~24.9이면 과체중, 25~29.9이면 비만, 30이상이면 고도비만으로 분류한다. 그러나 세계기준은 약간 다르다. 18.5~24.9는 정상, 25~29.9는 과체중, 30이상을 비만으로 분류한다. 

아시아 태평양 비만 기준을 세계기준과 다르게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는 현재 학계에서도 의견이 분분하다. 현재 아시아인에서 MBI 25이하의 질병 발생 위험이 약간 증가하는 것으로 보고 되고 있고, 세계보건기구에서도 BMI에 대해서 세계기준을 따를 것을 권고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따르면 2005년 현재 15세 이상 세계 인구 중 16억 명 가량이 과체중(BMI 25이상)이고, 400만 명이 비만(BMI 30이상) 인 것으로 추정된다. 미국 내에서는 매년 30만 명이 비만 관련 질병으로 사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의 비만인구도 2005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체질량지수 25이상이 성인의 31.8%, 소아청소년은 12%에 이른다. 체질량지수 30이상의 고도 비만은 성인의 3% 정도로 추정된다(2001년). 우리나라도 서구화된 식습관과 생활문화로 점차 비만인구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 비만은 만병의 근원

비만은 유전적, 환경적, 행동습관으로 발생한다. 대표적인 행동습관으로는 식욕조절의 장애, 바람직하지 못한 식사습관, 정적인 생활방식 등을 꼽는다. 에너지를 받아들이고 소모하는 데 있어 균형이 맞지 않으면 비만에 빠지기 쉽다. 체지방의 지나친 증가는 고혈압, 관상동맥성 심장병, 당뇨, 담낭결석, 수면무호흡증, 통풍, 퇴행성관절염, 유방암, 대장암, 전립선암 등 각종 암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최근 우리나라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체질량지수가 증가할수록 사망의 위험이 높아지며, 남자의 경우 체질량지수가 32 이상의 고도비만에서는 사망률을 2배 높인다는 보고(연세대 보건학대학원 지선하 교수 논문)도 있다. “수명의 길이는 허리띠의 길이와 반비례 한다”는 말처럼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건강의 지름길이다.

■ 심리적 문제부터 먼저 해결해야

체중을 줄이기 위해서는 단기적인 집중적 시도보다는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이 바람직하다. 만성질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 칼로리 제한 및 영양 균형을 위한 식이요법, 다양한 운동요법, 행동교정과 함께 소량의 약을 보조적으로 사용하는 병합요법 등이 효과적이다.

우울증이나 거식증, 폭식증 등이 동반된 비만 문제라면 우선 심리적인 문제부터 먼저 해결해야 한다. 우선 자기신체, 몸매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보는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고 나서 무리한 금식보다는 적절한 식사유지와 운동으로 서서히 체중을 줄여 나가면서 생활방식과 습관을 바꾸어 나가야 한다. 이런 과정에서 우울증이나 동반된 스트레스는 개인적 노력으로 극복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자료문의 : 한림대성심병원 가정의학과 조정진 교수

[배원숙 기자 baeluv@kdpress.co.kr]

[Copyrights ⓒ 데일리경제.http://www.kd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