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 정쟁, 미 연준 테이퍼링 정책 여파?
우크라이나 정쟁, 미 연준 테이퍼링 정책 여파?
  • 안민재 기자
  • 승인 2014.02.28 17: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데일리경제]신흥국이 주요 선진국의 양적완화정책 실시 기간 동안 외국인 자본으로 성장세를 이어왔고 그만큼 대외의존도가 높아지면서 대외여건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상황이다.

물론 제조업 수출 중심의 신흥국가들은 통화가치 절하와 유로존 중심의 선진국 경기 회복으로 수출이 확대되며 예상보다 빠른 회복세를 나타낼 수 있으나 취약국가로 분류된 국가들의 경우 원자재의 수출 비중이 높고 유럽경기 회복의 수혜를 직접적으로 받기 어렵다. 여기에 정치적 리스크가 확대된다면, 디스카운트를 피할 수 없다.


최근 우크라이나에서 방정부 시위가 극렬하게 진행되면서 국가 분열 위기로 확대되고 있고, 베네주엘라 및 남아공 역시 정정불안이 예고되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지난 해 11월 EU와 준회원협정 체결을 잠정 중단하면서 시위가 시작됐고, 러시아에 대한 의존도 확대와 장기간 지속되는 경기침체에 대한 국민의 불만 고조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경상수지 적자 기조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미 연준의 테이퍼링 실시에 따른 유동성 축소로 외국인의 자본 유출이 확대되며 우크라이나 통화 절하 압력으로 작용해왔다.

대신증권 김승현 이코노미스트는 "정치적 리스크가 확대되며 흐리브니아화 가치는 연일 최저치를 갱신하고 있으나, 외채 상환으로 외환보유액 급감하며 환율방어도 녹록치 못한 상황에 처하게 되었고, 중앙은행은 달러화 페그제 포기를 선언했다."고 설명했다.

결국 우크라이나는 긴급자금 지원이 없으면 디폴트에 처할 수 밖에 없는 상황.

김승현 이코노미스트는 "경기침체 장기화로 정치적 리스크가 확대되고 이는 다시 경제 여건을 악화시키는 악순환에 빠진 것이다. 우크라이나 외에도 최근 여러 신흥국들이 부진한 경제 여건에서 촉발된 정정 불안을 겪고 있으며, 정치적 리스크가 다시 경제를 위축시키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국민들이 실제로 느끼는 경제적 어려움이 큰 국가일수록 정정 불안을 겪을 확률이 높다. 경제적인 삶의 질을 가늠할 수 있는 경제고통지수(Misery Index, 물가상승률과 실업률의 합)를 살펴보면, 최근 정정불안을 겪고 있는 국가들이 높은 순위에 랭크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경제고통지수가 가장 높은 베네수엘라는 니콜라스 마두로 대통령의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가 최근 유혈사태로 번지며 정치적 리스크가 확대되고 있다. 2013년 한해 동안 물가가 56.3% 상승하며 국민들의 생활고가 극에 달한 상태다. 올해에도 외국자본유출로 통화가치 하락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른 수입물가 상승으로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더욱 가속화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미 테이퍼링 이슈로 부각된 취약 5개국(Fragile 5: 브라질, 터키, 인도, 인도네시아, 남아공)에속하는 국가들의 경제고통지수 또한 높은 수준이다. 이 국가들은 대외자본 의존도가 높다는공통점을 가지고 있는데, 미 연준의 양적완화 축소 이슈로 외국 자본 유출이 심화되며 통화가치가 빠르게 하락하고 있다.

통화가치의 하락은 물가상승압력으로 작용하고, 투자 위축으로 실업률도 상승한 것으로 판단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