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경부암 수술 임산부, 세계 최초 쌍둥이 출산”
“자궁경부암 수술 임산부, 세계 최초 쌍둥이 출산”
  • 데일리경제
  • 승인 2007.11.27 15: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궁경부암 수술 임산부, 세계 최초 쌍둥이 출산”

자궁경부암으로 자궁경부절제술을 받은 여성이 세계 최초로 쌍둥이 출산에 성공했다.

한림대의료원 강남성심병원 산부인과 이근영 교수는 자궁경부암 1기로 질식 자궁경부절제술 및 복강경으로 림프절절제술을 받은 후 쌍태아를 임신한 여성에게 자궁 입구를 묶어 주어는 복식자궁목잘록원형결찰술(복식자궁경관봉축술)을 시행하여 쌍둥이 출산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이번 사례는 자궁경부암으로 자궁경부절제술을 받은 여성이 쌍둥이 출산에 성공한 세계적 첫 사례로 미국산부인과학회지 9월호에 게재되었다.

이근영 교수는 3년 전 자궁경부암 1기로 진단받고 종양을 둘러싼 림프절과 발병원소 모두를 제거하는 근치적 자궁경부절제술을 국내 모 대학병원에서 받은 후 인공수정으로 쌍태아를 임신한 여성(32세, 가정주부)에게 2004년 5월 임신 13주째에 자궁 입구를 묶어주는 복식자궁목잘룩원형결찰술을 시행하여 출산 후 태아 생존이 가능도록 임신기간을 126일 더 연장시켰다. 이후 2004년 9월 임신 31주째에 태반이 자궁 입구를 막는 전치태반으로 질출혈을 동반하여 응급으로 제왕절개술을 시행하여 각각 1.44㎏과 1.51㎏의 여자 쌍둥이 출산에 성공했다. 저체중아로 출생한 쌍둥이는 인큐베이터 내에서 3주 동안 성장한 후 건강한 상태로 산모와 함께 퇴원했다.

조기 자궁경부암은 자궁 전체 적출술을 시행하면 완치가 가능하다. 그러나 임신을 해야 하는 가임기 여성에게 자궁 전체를 제거하면 아이를 낳을 수 없게 된다. 최근의 근치적 자궁경부절제술은 조기 자궁경부암에 걸린 젊은 가임기 여성을 대상으로 자궁을 보존시켜 임신이 가능하도록 드물게 시행되고 있다. 그러나 근치적 자궁경부절제술 후 임신을 하더라도 자궁경부의 대부분이 절제된 상태이므로 자궁경부가 약해서 자궁 내에 태아를 출산 시까지 유지할 수 없다. 즉 자궁목관무력증으로 조기분만으로 인한 태아 사망율이 높으며, 예방할 수 있는 마땅한 방법도 없었다. 특히 쌍태아를 임신한 경우에는 단태아 보다 자궁 내 압력이 훨씬 높아져 자궁목관무력증의 위험성이 더 증가할 수밖에 없다.

지금까지 국내외를 통틀어 근치적 자궁경부절제술을 받은 여성이 임신한 경우는 모두 149례 보고 됐다. 이들 중 단 3례만이 쌍태아 임신이었으며, 3례 모두 24주경에 조기 분만되었다. 이 때문에 근치적 자궁경부절제술 후 쌍태아를 임신하면 출생한 태아가 생존 가능할 때까지 임신기간을 지속시키는 것이 관건이었다.

이근영 교수는 “자궁경부절제술을 받은 여성이 임신을 하게 되면 자궁경부가 약해져서 태아가 빠져나오는 자궁목관무력증으로 조기 분만돼 유산되기 때문에 지금까지 출산이 어려웠다. 이러한 자궁경부절제술 후에 발생하는 자궁목관무력증을 예방하기 위해서 복식자궁목잘룩원형결찰술을 시도해서 출산에 처음으로 성공했다. 이번의 성공적인 보고로 앞으로 자궁경부절제술 후 발생하는 자궁목관무력증을 복식자궁목잘룩원형결찰술로 예방할 수 있어, 가임기 여성의 출산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자궁목관무력증이란
자궁목관무력증이란 자궁경관무력증이라고도 하며 자궁경부에 힘이 없어 자궁이 조기에 열리고 양막이 풍선모양처럼 탈출되어 나오면서 양수가 터져 결국엔 더 이상 손을 쓸 수가 없게 되어 태아를 포기하게 되는 질환이다. 전체 임신 중 0.5~2%를 차지하는 자궁경관무력증(전체 조산율의 약 15%)의 주요 발생원인은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으나, 이근영 교수 등은 지난 2004년 9월과 2005년 3월 미국산부인과학회지(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ecology)에서 ‘감염과 탈락막(자궁내막) 출혈과 관계있음’을 양수 내 감염물질지표(Interleukin-6, proteomic biomarker)를 사용하여 보고한 바 있다.
 

자궁목관무력증은 보통 임신 2기말에서 3기초(임신 16~30주 사이)에 조기 통증과 조기 분만의 문제를 일으킨다. 특히 이 질환은 환자가 과거에 유산이나 중절 등의 병력을 가지고 있으며, 조산한 경험이 있을 경우에 진단을 내리게 되며, 자궁경부의 길이를 초음파로 측정하여 정확한 진단이 가능하다. 보통 자궁경부의 길이가 3㎝이하로 줄어들 때 자궁목관무력증으로 진단하게 된다. 자궁목관무력증이 의심이 되면 임신 13~14주 때 미리 자궁을 묶어주는 자궁목잘룩원형결찰(자궁경부봉합술)을 시행하여 예방을 하기도 한다.

※ 참고 : 임신 주수는 총 40주를 13주로 나누어 총 3분기로 구분함.(1분기: 1~13주, 2분기: 14~27주, 3분기: 28~40주)
 
■ 자궁목잘룩원형결찰술이란
자궁목잘룩원형결찰술은 자궁경부(경관)봉합술이라고도 하며, 과거에 자궁목관무력증으로 태아를 잃은 경우 다음 임신 때에는 예방법으로 질 안쪽에서 자궁경부를 묶어주는 질식(膣式) 수술법과 배를 열고 자궁경부를 묶어주는 복식(腹式) 수술법이 있다. 그리고 자궁입구가 열리고 자궁 밖으로 탈출되어 나온 양막을 자궁 안쪽으로 넣어주고 더 이상 밀려 나오지 않도록 자궁경부를 묶어주는 응급 자궁목관잘룩원형결찰술이 있다.       

■ 자료문의 : 한림대의료원 강남성심병원 산부인과 이근영 교수 
※ 관련 홈페이지 : 강남성심병원 자궁목관무력증클리닉 (
http://www.iioc.net)
조산으로 아기를 잃은 엄마들의 모임-쉬로드카(
http://cafe.daum.net/nextwecan

<(c)극동경제신문.http://www.kdpress.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단, 블로그등 개인사이트 뉴스 링크는 사용해도 좋습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