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실통합>그들만의 리그, 출입기자단 횡포 낱낱이 드러나
<기자실통합>그들만의 리그, 출입기자단 횡포 낱낱이 드러나
  • 데일리경제
  • 승인 2007.05.31 01: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누구를 위한 출입처인가-출입신청 거부에서 인터뷰 방해까지

그동안 정부 각 부처 내지 대기업 출입처등에서 자행된 기존 출입기자단들의 횡포로 신규 출입처로 등록하지 못하는 타매체들의 원성이 자자했다.

기자단이 오히려, 출입처를 장악, 신규 매체들의 진입을 사실상 봉쇄해 온 것이 공공연한 사실이다. 이번에 청와대 홍보 수석실에서 밝힌 출입기자단의 횡포 사례는 도를 넘어섰다는 비판을 받기에 충분하다.
 

다음은 청와대 홍보 수석실에서 밝힌 사례.


"2004년 12월, 한 인터넷신문사와 인터뷰를 하기로 약속했던 A장관. 그러나 이날 인터뷰는 성사되지 못했다. 그 부처에 상주하는 출입기자들의 거센 항의 때문이었다. 상주 출입기자가 아닌 매체의 기자와 인터뷰를 하는 의도가 뭐냐는 항의를 받았다. 결국 A장관은 인터뷰 시작 직전, 해당 언론사 기자를 돌려보냈다. 그리고 상주 출입기자들을 만나 “언론과의 접촉을 넓혀가겠다는 뜻이지 출입기자들을 배제시킨 게 아니다”며 해명을 하느라 진땀을 뺐다고 한다.

지난 4월, B기관 상주기자단은 투표를 통해 한 언론사의 기자단 가입을 거부했다. 해당 기관의 5개 이상 산하기관에 기자가 상주해야 하며, 1년 이상 그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는 까다로운 조건을 잘 충족시켰지만, 소용이 없었다. 종합일간지와 방송사 등 17개 언론사 기자들로 단단히 결속된 ‘기자단’의 결정이었다.

지난해에도 일선기자 배치 1년 조건을 채우지 않았다는 이유로 가입을 거부당한 이 언론사는, 상당히 규모가 크고 영향력이 있는 언론사이다. 자존심이 상한 이 언론사는 해당 취재팀을 해체해 버렸다. B기관 기자실은 기존에 가입된 언론사 이외의 매체에 대해서는 엄격한 가입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자격요건 때문에 최근 몇 년 동안 새로 가입시킨 언론사가 없다.

2005년 3월, C기관 기자실 앞에서 실랑이가 벌어졌다. 공보담당관이 공식 간담회를 취재하려던 한 언론사 기자의 기자실 출입을 제지했기 때문. 상주기자가 아니기 때문에 그랬다. 물론 기자단의 ‘가이드라인’에 의해서 어쩔수없이 제지를 한 것이다. 그 공무원은 기자에게 “꼭 취재를 하고 싶다면 기자실 밖에서 하라”고 했다. 당시 C기관장은 기자실 안에서 출입기자들에 둘러싸여 ‘폐쇄적’ 정례브리핑을 하고 있었다. 공개브리핑룸은 텅 비어 있었다.

2004년 12월, D장관은 한 유력 해외언론사와 인터뷰를 했다. 그러자 상주 출입기자들이 “어떤 원칙에서 단독 인터뷰가 진행된 것인지 해명하라”고 요구했다. D장관은 특정 언론사와 인터뷰를 하게 되면 다른 언론사들의 인터뷰에도 응하지 않을 수 없는 현실을 감안해 개별 인터뷰를 하지 않겠다고 소신을 밝혔던 게 화근이 됐다. D장관은 전체 국가홍보 차원에서 필요하다고 생각해 인터뷰를 하게 된 것이라고 해명했으나, 상주 출입기자들의 화를 풀지는 못했다.

2006년 2월, 한 신생언론사는 E기관에 출입기자 등록을 신청했다가 거부당했다. 20여개 언론사가 뭉쳐 있는 출입기자단이 해당 언론사의 기자실 상주출입 요청을 만장일치로 반대했던 것이다. 해당 기관의 주요 정보가 공유되는 상황에서, 신뢰가 쌓이지 않은 언론사의 신규 출입을 허용하는 것이 어렵다는 게 그 이유.

F 기관의 경우 상주기자와 비상주기자의 처지가 하늘과 땅 차이다. 상주기자는 등록기자증을 보여주며 곧장 들어갈 수 있지만, 비상주기자는 안내소에서 신분을 확인하고 별도 출입증을 받아야 브리핑룸으로 입장할 수 있다. 어쩌다 중요한 취재가 생겨 브리핑룸이나 기사송고실을 이용하려 해도 상주언론사 기자들이 고정석으로 독차지하고 있는 자리를 빼면 비상주 언론사 기자들이 앉을 곳은 찾기 힘든 것이 사실.

이처럼, 기존 출입처 기자단은 공개 브리핑룸 전환 이전 보다 오히려, 신규 매체의 진입을 사실상 봉쇄하는데 앞장섰다. 

정부가 기자실 개방을 선언하고 공개브리핑룸으로 전환한 지 4년이 되어가는 시점에서 취재를 원하는 기자가 등록만 하면 정부 각 부처의 브리핑을 자유롭게 취재할 수 있도록 ‘개방형 브리핑제’를 도입해으나 특정 언론사 중심의 상주 출입기자 위주로 브리핑룸이 운영되면서 과거 출입기자단의 구태가 되살아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기자단은 신생매체나 군소매체의 출입을 허가하는 기준까지 만들어 놓았다. B기관 기자실은 2006년에 신규택?가입조건을 결정하는 ‘기자단 규약’을 더욱 강화하기도 했으며. 추천기관중 하나인 한국기자협회등에 가입하기 위해서는 까다로운 절차와 자본금기준등으로 사실상 기존 매체외에는 진입을 금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번 기자실 통폐합은 기존 매체의 보도 환경 독점에서 벗어나,오히려, 신생언론사와 인터넷매체등에 보도 접근성이 용이해져 언론의 다양성을 확보하는데 이바지 할 것으로 보인다.<한영수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