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구직자 4명 중 3명은 지방근무 기피
청년구직자 4명 중 3명은 지방근무 기피
  • 이지연 기자
  • 승인 2022.06.07 14: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수도권 청년 구직자 4명 중 3명은 지방 근무를 기피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청년 취업의 지리적 마지노선은 ‘세종·대전’으로, 응답자 85%는 세종·대전 밑으로는 안 내려간다고 답했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수도권에 거주하며 구직활동을 하는 청년 301명을 대상으로 ‘지방근무에 대한 청년 인식 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수도권 청년 구직자 중 절반(49.2%)은 지방 근무를 다소 기피, 23.6%는 매우 기피한다고 답했다. 반면 ’별로 상관없다‘ 거나 ’전혀 상관없다‘는 응답은 각각 22.6%와 4.6%에 그쳤다.

대한상의 제공

실제로 비수도권 기업에 입사 지원하는지를 묻는 질문에 ‘전혀 지원하지 않는다’고 응답한 비율이 34.5%에 달했고,‘가급적 지원하지 않는다’는 응답도 31.6%를 차지했다. 공기업 등에만 제한적으로 지원한다는 응답도 19.6%였다. ‘지역에 상관없이 지원한다’는 응답은 14.3%에 불과했다.

지방 근무를 기피하는 이유로는 ‘가족·친구 등 네트워크가 없어서’(60.7%)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고, 이어 ‘생활·문화 인프라가 열악해서’(59.8%), ‘주거·생활비가 부담돼서’(48.9%) 라는 응답이 주를 이뤘다. 그밖에 ‘원하는 직장이 없어서’(14.2%), ‘성장기회가 부족해서’(6.8%), ‘결혼·자녀교육이 어려워서’(5.0%) 순이었다.(복수응답)

수도권 청년들은 회사 선택 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조건을 묻는 질문에서 연봉(36.5%)과 근무지역(28.9%)을 꼽았다. ‘수도권에서 근무할 수 있는지’ 여부가 높은 연봉만큼이나 회사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이어 ‘워라밸’(21.3%), ‘개인 커리어 개발’(9.3%), ‘회사의 성장 가능성‘(2.7%) 순이었다.

수도권과 비수도권 근무 선호도 차이를 구체적인 수치로 가늠해보기 위해, 앞서 수도권 회사를 택한 청년들에게 “연봉이 얼마나 높으면 지방 근무를 선택하겠느냐”고 질문하자 ‘1천만원’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36.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 ‘2천만원’·‘5백만원’(18.6%)이 동일한 응답수를 기록했으며,‘3백만원’(9.8%), ‘1천5백만원’(8.8%) 순이었다. 연봉과 관계없이 아예 지방에 근무할 의향이 없다는 응답도 6.1%였다.

청년 취업의 지리적 마지노선은 ‘세종·대전’인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에서 어느 정도 먼 지역에서까지 근무할 의향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64.1%가 ‘수원·용인‘으로 답한 반면, 그보다 조금 아래인 ’평택·충주‘는 31.9%로 크게 하락했다. 수도권이거나 수도권 인접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서울과의 거리가 일정 수준 이상 멀어지면서 선호가 크게 낮아지는 것이다.

중부권의 중심지인 ’세종·대전‘(25.9%)의 경우는 ’평택·충주‘와 응답률 차이가 크지 않았으나 남부권 ’대구·전주‘(14.9%)에서는 다시 크게 떨어져, ’세종·대전‘이 수도권 청년들이 근무를 고려하는 지리적인 마지노선으로 나타났다. 거리에 상관없다는 응답은 11%에 그쳤다.

기업규모가 다소 작더라도 수도권에 있는 기업을 더 선호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지방 4대그룹 소속 기업’(26.6%) 보다 ‘수도권 일반 대기업’(73.4%)에 입사하겠다는 응답이 훨씬 높았으며, ‘수도권 중견기업’(50.2%)은 ‘지방 일반 대기업’(49.8%)과, ‘수도권 소재 중소기업’(52.8%)은 ‘지방 소재 중견기업’(47.2%)과 선호도가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눈높이를 낮춰서라도 수도권 기업에 취업하려는 청년이 그만큼 많다는 것이다.

청년들은 지역불균형 해소를 위한 새정부의 최우선 정책과제로 ’지역 생활여건 개선‘(38.5%)을 꼽았다. 인구를 단순 유입시키는 차원을 넘어 그 안에서 자족 가능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음으로는 ‘주요기업 지방이전 촉진(21.6%)’이 꼽혔으며, ‘지역 거점도시 육성(16.9%)’, ‘공공기관 이전 확대(9.3%)’, ‘지역 특화산업 육성(7.3%)’등이 뒤를 이었다.

대한상의 전인식 산업정책실장은 “지역불균형 해소의 핵심은 결국 미래세대인 청년과 지역경제를 이끌어갈 기업이 스스로 찾아와 정착하고 싶은 지역을 만드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청년 눈높이에 맞게 지역 생활여건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기업에 친화적인 제도와 인프라도 만들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한상의는 조사에 대한 이해를 돕고자 지방근무에 대한 생생한 청년들의 목소리를 확인할 수 있는 별도의 영상클립을 제작해 배포했다. 영상은 대한상의 공식 유튜브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