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1위에서 하락폭 주요국 중 최대..위상 흔들
한국,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1위에서 하락폭 주요국 중 최대..위상 흔들
  • 최세영 기자
  • 승인 2022.03.16 13: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3~2019년 7년 연속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한 한국의 위상이 미국의 對중국 반도체 기술․장비 수출 제한에 따른 중국의 대만산 반도체 수입 증가, 아세안 6개국(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필리핀) 약진, 중국의 부품·소재 자급화정책에 따른 범용소재 위주 한국의 對중국 부품·소재 수출 감소 등으로 흔들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이 2015년 기준 중국의 20대 수입국* 중 G5(미국, 일본, 독일, 프랑스, 영국), 한국, 대만, 아세안6(말레이시아, 태국, 인도네시아, 싱가포르, 베트남, 필리핀)의 2012~2016년 대비 2017~2021년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변화를 분석한 결과, 이들 국가 중 한국의 점유율이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다. 

한국의 점유율은 2012~2016년 9.8%에서 2017~2021년 8.8%로 1.0%p 하락하였고, 패권경쟁 중인 미국도 1.0%p 줄었다. 반면, 글로벌 공급망의 허브로 변모하고 있는 아세안 6개국과 대만의 점유율은 각각 2.5%p, 0.8%p 늘었다.

이 기간 대만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이 늘어난 것은 미국이 중국군에 활용될 수 있다는 이유 등으로 중국에 대한 반도체 기술과 장비 수출을 제한*한 이후 중국의 대만산 반도체 수입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한국의 최대 對중 수출품 메모리 반도체 제외 시,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은 2012~2016년 8.8%에서 2017~2021년 6.8%로 2.0%p 감소한 반면, 아세안 6개국 점유율은 2.8%p로 늘었다.

최근 5년(2017~2021년) 중국의 부품․소재 수입은 [중국제조 2025]로 상징되는 중국의 부품․소재 자급화 등 산업구조 고도화 정책과 중국 토종기업의 성장으로 2012년~2016년 대비 6.6% 줄었다. 이 같은 중국의 부품소재 수입구조의 근원적 변화는 메모리반도체 이외 범용소재 위주의 한국의 對중국 부품소재 수출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여 한국의 중국 부품소재 수입시장 점유율은 2012~2016년 16.9%에서 2017~2021년 11.9%로 5.0%p 감소하였다. 

2018년 기준으로 승용차, 의약품, 화장품, 유아용 식료품, 플라스틱제품 등 중국의 10대 수입 소비재 수입시장에서 한국의 시장점유율은 2012~2016년 5.4%에서 2017~2021년 4.2%로 1.2%p 감소했다. 이 기간 중국의 화장품 對프랑스 수입이 2012~2016년 대비 2017~2021년 약 4배 증가함에 따라 G5, 아세안6 중 프랑스만 유일하게 시장점유율이 2.3%p 상승하였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본부장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후 중국의 대외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산업고도화 및 내수중심 성장정책은 2016년 이후 한국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감소의 직접적 원인이 되고 있다.”고 밝혔다. 

김봉만 본부장은 “중국의 수입구조가 고부가가치 중간재, 소비재 제품 위주로 재편되고 있는 만큼, 한국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 회복을 위해 기업은 반도체 이외에 고부가가치 철강재․정밀화학제품 등 고부가 對중국 전략 수출품목을 발굴하여야 하며, 정부는 2015년 12월 발효 [한-중FTA] 상품 양허 개정 등 정책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