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상의 웨비나 "지역 산업 생태계 변화 없으면 지역경제 어려움 지속"
대한상의 웨비나 "지역 산업 생태계 변화 없으면 지역경제 어려움 지속"
  • 이지연 기자
  • 승인 2022.01.21 14: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역의 산업생태계가 변화지 않는다면, 청년들의 이탈이 가속화되어 지역경제의 어려움은 계속될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역 기업도 생태계 변화에 맞춰 혁신해야 한다는 분석이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최태원)가 개최한 웨비나(Webniar)에서 조영태 서울대 교수는‘인구학의 눈으로 본 지역경제의 오늘과 미래’를 주제로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조영태 교수는 청년들의 수도권 집중이 60%에 이를 정도로 심각하다고 지적하며 지자체에 대한 예산 투입과 지원 정책도 한계가 있다고 주장했다.

조 교수는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막대한 예산 투입과 지원 정책으로 인해 청년들의 수도권 집중이 완화되고, 지역으로 돌아가는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도 있다”며, “당장은 불가능 하지만, 10년 후에 이런 현상이 일어난다고 가정할 때, 또 다른 문제가 있다”말했다.

조 교수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고령화·청년이탈로 인한 지역인구소멸을 막기 위해 2022년부터 소멸예정지역 86곳을 지정하여 매년 1조원씩 10년간 투입할 예정이다.

그는 “15년 후 청년이 되는 오늘의 청소년(2002년~2013년 출생)은 한 연령대의 42~49만명이 있다”며, “정부의 노력으로 15년 뒤 전체 청년인구의 50%가 지역에 거주한다면 21~24.5만명의 청년이 거주하는 것인데, 현재 지역의 청년인구(24~28만명)보다 더 적은 수가 될 것이다”고 분석했다.

청년인구의 이탈이 지역의 활력 저하와 지역경제의 활력도 낮아질 가능성이 높지만, 그렇다고 지역경제가 침체된 원인을 전적으로 청년의 이탈에서 찾는 것으로는 완전한 해결방안을 찾을 수 없다고 주장했다.

조 교수는“지역경제의 어려움을 청년인구의 이탈 때문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청년들이 그 지역에 다시 돌아온다고 지역경제가 다시 살아 날 것이라는 말은 반드시 옳다고 할 수 없다”며, “지역경제가 활력을 잃게 된 것이 인구구조 변화가 아니라 지역산업이 빠르게 변화하는 산업생태계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한 것이 아닌지 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 지역의 산업생태계부터 변화해 청년들의 마음을 잡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는 “지역경제의 위기가 인구라는 외생적 요소가 아닌 지역산업 자체라는 내생적 요인으로 인한 것이 아닐까?”라는 물음을 갖는다면, “지역의 산업생태계부터 변화해야 한다. 변화지 않는다면 지금의 어려움은 계속될 것이고 청년들의 마음을 잡기는 더욱 어려울 것이다”고 당부했다.

조 교수는 “지역경제의 활성화를 위해 중앙정부와 지자체의 정책적인 노력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지역기업의 주도적인 역할이 더 중요하다”며, “대한상의와 지역상의들이 2022년을 지역 산업생태계를 점검하고 필요한 변화의 첫 단추를 끼는 첫 해로 만들어 가야한다”고 제안하며 발언을 마무리 했다.

본 웨비나는 유튜브와 대한상공회의소 홈페이지‘온라인 세미나’에서도 26일부터 시청할 수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