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인도 수출 2018년 이후 지속 감소세, 한-인도 CEPA로 상황 타개해 나가야”
전경련, “인도 수출 2018년 이후 지속 감소세, 한-인도 CEPA로 상황 타개해 나가야”
  • 이지연 기자
  • 승인 2021.11.10 11: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자료=전경련)

미·중 패권전쟁으로 인도가 포스트 차이나로 자리매김하며 인도시장의 중요성이 부각되는 가운데, 한국의 인도 수출은 2018년 이후 지속 감소세인 것으로 조사됐다. 한-인도 CEPA로 상황을 타개해 나가야 한다는 분석이다.

전경련은 10일 “2016년 이후 한국의 인도 수출 및 인도 수입시장내 한국 점유율 분석을 통해 우리 기업의 인도 비즈니스 활성화 과제를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인도수출은 2018년 이후 지속적인 감소세에 있으며, 올해 9월까지도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기준 한국의 20대 수출대상국에 대한 올해 9월까지 전체 수출은 코로나19 글로벌 경제위기 발생 이전인 2019년 동기대비 16.5% 증가하였지만, 한국의 7위 수출대상국인 인도 수출은 3.5% 줄어든 상태이다.

전경련은 “금년에도 한국의 인도 수출이 부진한 것은 인도의 2차 코로나 대유행과 지역 봉쇄조치에 따른 경기 회복 지연과 함께 화학․철강․플라스틱 등 한국의 인도 주력 수출품목에 대한 인도의 지속적 수입규제에 기인한 것이다”며, “2020년 기준 인도의 對한국 수입규제는 총 34건으로 한국에 대한 전세계 수입규제 중 인도 비중은 약 15%에 달하고 있고, 비록 금년 상반기 인도 정부가 해외 수입 철강·화학제품 원가상승에 따른 수요업계(특히, 중소기업)의 부담 가중 등을 고려하여 일시적으로 일부 수입규제를 종료하였지만, 새로 한국의 전기아연도금강에 대한 반덤핑 조사에 들어가는 등 인도의 수입규제 기조는 여전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인도는 반덤핑관세, 상계관세 등 무역구제제도를 활발하게 활용하는 국가이다. 그 결과, 인도 수입규제의 영향이 큰 철강 5건, 화학 11건, 플라스틱․고무 3건 등 3개 품목의 인도 수출은 2018년을 정점으로 감소세에 있다. 이와 함께 광물자원을 제외한 전기기기․부분품, 원자로 보일러․부분품, 철강, 플라스틱 및 그 제품, 유기 화학품 등 인도의 5대 수입 품목 (HS2단위 기준)에 대한 한국의 점유율 또한 2017~2018년 이후 뚜렷한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2020년 중국과 인도의 국경분쟁 이후 중국이 인도수입시장 점유율이 감소했음에도 한국이 반사이익을 얻지 못하고 있다. 인도 진출 한국 기업에는 이러한 규제가 중국의 저가 상품의 인도 유입을 막는 장벽이 되었지만 한국의 인도 수입시장 점유율은 2018년 이후 3.3%수준으로 정체되어 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인도 모디 정부는 2030년까지 중국에 버금가는 세계의 공장을 만든다는 제조업 2030 비전을 실현하고 만성적 무역적자를 완화하기 위해 앞으로도 인도의 대외정책은 규제적 방향을 띨 것”이라며 “우리 통상 당국은 한-인도 CEPA(2010년 1월 발효) 개정 협상의 조속한 타결을 통해 현재 정체국면을 타개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인도는 2026년까지 6% 이상의 경제성장을 통해 2030년 세계 4위, 2050년 세계 3위 경제대국 진입을 목표로 할 정도로 중요한 시장인 점을 고려해야 한다.”면서, “통상당국은 일본-인도 CEPA(’11.8월 발효)와 대비하여 양허열위 품목을 중심으로 한-인도 CEPA 양허품목 확대 및 협정관세 추가 인하, 엄격한 원산지 결정기준 완화, 인도의 對한국 수입규제 완화 등이 이루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