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의 정치 변화를 예고한 총선
독일의 정치 변화를 예고한 총선
  • 손선홍 前주 함부르크 총영사/정리=이지연 기자
  • 승인 2021.11.01 15:3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 9월 26일 실시된 독일 연방 하원의원 선거(총선)는 독일은 물론 국제 사회의 큰 관심을 끌었다. 무엇보다도 2005년 이래 16년 동안 독일을 이끌어 왔던 앙겔라 메르켈 시대가 끝나고 정치 변화의 새로운 시기가 시작되기 때문이다. 또한 유럽 제1위의 경제국이자 유럽연합(EU)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독일을 메르켈에 이어 누가 이끌어 갈지도 관심이다.

메르켈 이후에도 기민/기사당(CDU/CSU)이 계속 집권할 것인가, 아니면 연정 파트너 내지는 야당으로 머물렀던 사민당(SPD)이 주도권을 잡을 것인가? 처음으로 총리 후보를 낸 녹색당(Die Grunen)은 어느 정도 지지를 얻을 것인가등에 관심이 집중되었다.

총선 결과 사민당이 25.7%(206석)를 얻어 제1당이 되면서 16년 만에 집권 가능성을 열었다. 사민당은 1.6%(10석)의 근소한 차이로 기민/기사당에 앞섰다. 총선 2달 전까지만 해도 지지율이 15%대에 머물러 집권 가능성이 낮았던 사민당을 제1당으로 끌어올린 이는 바로 총리 후보 올라프 숄츠다.

총선을 승리로 이끈 슐츠는 올해 63세로 북부 독일 니더작센 주 오스나브뤼크에서 태어나 함부르크에서 성장했다. 슐츠는 17세에 사민당에 입당하여 27세에 변호사로 사회활동을 시작했다. 40세(1998년)에 연방 하원 의원이 된 슐츠는 사민당 원내대표(2005∼2006), 연방 노동·사회부 장관(2007∼2009), 함부르크 주총리(2011∼2018)를 역임했고, 2018년 이래 연방 부총리 겸 재무 장관으로 재직하며 의회, 주정부, 연방 정부에서 풍부한 경험을 쌓았다. 비록 사민당에 대한 지지는 낮았으나 숄츠에 대한 신뢰와 호감도는 다른 2명의 총리 후보들보다 2배 이상 높았다.

기민/기사당은 당 대표이자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총리인 아르민 라셰트를 총리 후보로 내세웠다. 그러나 8.9% 줄어든 24.1%(196석)를 얻는데 그쳐 제2당으로 떨어졌다. 녹색당은 한 때 지지율이 25%까지 치솟자 총리 배출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당 공동 대표인 아날레나 배르보크를 후보로 내세웠다. 기대에는 못 미쳤지만 녹색당은 5.8% 증가한 14.8%(118석)를 얻어 제6당에서 단숨에 제3당으로 올라섰다. 친 기업 성향의 자민당(FDP)은 0.7% 증가한 11.5%(92석)를 얻어 제4당이 되었고, 극우 정당인 독일 대안당(AfD)은 2.3% 줄어든 10.3%(83석)을 얻었다.

이번 독일 총선의 특징을 살펴보자.

첫째, 독일 국민은 변화를 원하면서도 안정을 택했다는 점이다. 총선 전에 사민당은 녹색당만으로는 연정 수립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좌파당과 함께 좌파 연정을 수립하려고도 했다. 그러나 좌파당의 부진으로 좌파 연정은 무산됐고, 친 기업 성향인 자민당의 연정 참여가 확실시되어 좌파 정책 추진이 쉽지 않게 됐다.

둘째, 독일 국민의 정치 성향이 다양해지고 있다는 점이다. ‘국민정당(Volkspartei)’으로 오랫동안 높은 지지를 받아왔던 기민/기사당과 사민당의 득표율이 동시에 20%대로 떨어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젊은 층들이 녹색당과 자민당의 지지로 옮겨가고 있으며, 특히 기후 문제에 민감하여 녹색당 지지자들이 많이 늘어났다.

셋째, 녹색당과 자민당의 연정(聯政) 참여가 확실시 되어 두 정당의 영향력이 커질 것이라는 점이다. 사민당과 기민/기사당의 대연정도 가능은 하나 두 정당이 이미 지난 4년 동안 연정을 해왔기 때문에 가능성은 적다.

넷째, 동독 지역 주민들의 이익과 입장을 대변해 왔던 좌파당이 퇴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동독 공산당의 후신으로 동독 지역 주민들의 지지를 받아왔던 좌파당은 지난 총선보다 4.3% 줄어든 4.9%를 얻어 의회 진출이 무산될 뻔했다. 지역구에서 3명이 당선되어 비례대표에서 36석을 추가로 얻어 39석으로 의회에 진출하게 됐다. 정당이 의회에 진출하려면 득표율이 5% 이상이거나 지역구에서 3석 이상을 얻어야 한다.

다섯째, 의석이 선거법에 정한 의석수(598석) 보다 크게 늘어났다는 점이다. 선거법상 정원은 598석(지역구 299석, 비례대표 299석)이나 ‘초과 의석’과 ‘균형 의석’ 제도로 인해 무려 22.9%인 137석이 늘어나 총 735석이 됐다. ‘연동형 비례대표제’가 주민의 의사를 반영하는 장점이 있으나, 이처럼 의석이 많이 늘어나는 것이 큰 단점이다. ‘준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채택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참고할 내용이다.

여섯째, 우편 투표(Briefwahl)의 비율이 역대 최고로 높았다는 점이다. 우편투표는 일종의 사전 투표제도로 투표장에 가기 어려운 노약자와 장애인들을 위해 1957년에 도입했다. 우편투표율은 점차 높아지고 있다. 2017년에 28.6%였으나 2021년에는 코로나로 인해 40%가 넘을 것이라고 한다. 독일은 투표를 일요일에 하고 있다. 그래도 투표율은 76.6%로 비교적 높은 편이다.

이번 총선에 인물론이 지배했지만 정당들이 공약도 제시했다. 외교정책보다는 국내 문제에 집중되었으며 기후관련 정책이 압도적이었다. 용어도 ‘기후변화(Klimawandel)’에서 ‘기후보호(Klimaschutz)’로 바꿔 쓰며, 기후보호에 적극 대처하겠다는 것이다. 이외에 코로나 방역, 디지털 교육 강화, 난민 문제 등도 있었다.

총선에서 어느 정당도 50%를 얻지 못했기 때문에 연정 수립 협상이 남아있다. 우선 제1당이 된 사민당이 주도하는 녹색당(녹색), 자민당(노랑)과의 신호등 연정 가능성이 크다. 3개 정당의 색이 신호등의 색과 같아 붙여졌다. 신호등 연정이 무산될 경우에는 기민/기사당(검정)이 주도하는 녹색당, 자민당과의 자메이카 연정도 가능하다. 자메이카 연정은 3개 정당의 색이 자메이카의 국기 색과 같아 그렇게 불린다.

사민당, 녹색당, 자민당은 연정 수립을 위한 예비 협상을 시작했다. 다만, 세 정당의 정책이 대립하는 분야가 있어 모두 만족시키는 협상이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기후 중립 달성시기와 관련하여 사민당은 2045년을, 녹색당은 2041년을, 자민당은 2050년을 제시하고 있다. 탄소 배출량 감소와 관련, 사민당은 2030년까지 1990년 대비 65% 감축을, 녹색당은 70%를 제시했다. 재생에너지로 100% 전력 생산 시기를 사민당은 2040년을, 녹색당은 2035년을 제시했다. 또한 사민당과 녹색당은 고속도로에서 130km/h 속도 제한 도입을 주장하나 자민당은 반대하고 있다. 기후보호 관련, 녹색당 정책이 가장 강하고, 사민당은 중간을 자민당은 다소 완화된 입장이다.

또한 자민당은 코로나로 과도하게 풀린 재정을 억제하여 평상시의 안정과 성장정책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에 사민당과 녹색당은 투자를 더 확대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외에 자민당은 사민당과 달리 법인세 인하, 소득세 개편 등의 공약을 제시했다. 사민당은 광역 밴드 확충, 학교에서 디지털 교육 강화, 최저임금 인상, 근거리 교통 시스템 확충 등을 공약했다. 따라서 사민당이 연정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녹색당과 자민당이 동시에 받아들일 수 있는 정책을 어떻게 제시하느냐가 관건이다. 세 정당의 입장이 평행선을 달릴 경우 연정 협상이 연말까지 갈 수도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한편, 기민당 대표 라셰트는 자신이 총리에 나서지 않고 제3의 인사를 총리로 추대하는 방안을 제시하며 자메이카 연정 수립에 열을 올리고 있으나 쉽지 않아 보인다.

독일 정부는 2020년 9월에 ‘인도·태평양 전략’을 채택하여 아시아와 태평양 지역을 중시하고 있다. 인도·태평양 지역이 미래의 국제질서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할 것이라는 믿음 때문이다. 이런 정책에서 독일은 지난 8월 2일 호위함 ‘바이에른’호를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6개월 예정으로 파견했다. 한국에도 들리는 바이에른 호는 UN의 대북제재 해상 감시활동 참여, 국제 해상에서 항해 자유 이행과 안보 협력 강화, 파트너 국 항구를 방문할 예정이다.

그동안 우리의 외교는 과도하게 주변 4강국에 집중되어 왔다. 이제 우리의 외교 활동 중심도 주변 4강국을 넘어 유럽연합 등으로 다변화해야 한다. 유럽연합에서 핵심 역할을 하는 독일과의 관계도 더욱 강화할 필요가 있다.

*필자의 개인의견이며, 본 지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 손선홍 총영사는 주독일 대사관 공사와 주함부르크 총영사를 지냈다. 퇴임 후 국립외교원 명예교수와 충남대 평화안보대학원 특임교수를 역임하고, 제20대 국회 국회의원연구단체 평가위원회 위원으로도 활동했다. 『독일 통일 한국 통일』과 『도시로 떠난 독일 역사 문화 산책』 등의 저서가 있다. 현재 독일 정치‧문화연구소를 운영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