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신남방정책 4년, 차이나파워에 밀려 교역목표 달성율 80%대”
전경련 “신남방정책 4년, 차이나파워에 밀려 교역목표 달성율 80%대”
  • 이지연 기자
  • 승인 2021.07.21 12: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의 100대 국정과제 중 하나인 신남방정책이 중국·대만 등 차이나파워에 밀려 경제성과가 흔들린다는 분석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21일 ‘신남방정책 4년의 경제적 성과(교역, 인적교류)와 향후 정책개선과제’를 분석․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전경련에 따르면 정부는 2018년 11월 신남방정책특위 1차 회의에서 2020년 아세안 10개국과 연간 교역 2,000억 달러, 연간 상호 인적교류 1,500만명 달성을 정책목표로 정하고 무역·투자 증진 제도적 기반 강화, 연계성 증진 아세안 인프라 개발 참여 등 5개 경제정책과제를 실행해 왔다.

하지만 2018년 미-중 무역전쟁 이후 중국이 아세안 국가를 대상으로 수출을 확대하고, 우회 수출기지로 활용하였으며, 대만이 탈중국 신남향정책을 전개하면서 한국의 입지는 축소되었다고 분석했다.

전경련은 “지난해 코로나19가 발생치 않았다고 가정하여 아세안 10개국과의 교역․인적교류를 추정한 결과, 2020년 아세안 10개국과의 교역목표 달성률은 82.3%(1,645억 달러)를 기록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신남방 지역 아세안 10개국은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미얀마, 필리핀, 싱가포르, 태국, 베트남 및 인도 등이다.

(자료=전경련)

한-아세안 교역목표 달성률이 80%대에 그친 반면, 한-아세안 10개국 상호 인적교류는 크게 늘었다. 16년 중국의 사드 보복조치 이후 한국 국민의 동남아 관광수요 증가, 아세안 국가의 K-Pop 체험 관광수요 증가로 10년~19년 한-아세안 10개국 인적교류는 연평균 12.7% 늘어 19년 1,268만명까지 확대되었다. 지난해 코로나19가 발생치 않았을 경우, 한-아세안 인적교류는 1,430만명을 달성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처럼 2020년 한-신남방 교역이 정부 기대치인 2,000억 달러 상회에 못 미친 것은 베트남을 제외한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태국 등 5개 국가와의 교역이 2018년을 정점으로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해의 경우, GDP 세계 16위(1.1조 달러, 19년) 인도네시아의 기계류 부품, 전자기기, 철강, 플라스틱 등에 대한 수입수요가 감소하면서 한국의 對인도네시아 수출이 18.2% 줄어들었다.

2017년~2020년 아세안 10개국 수입시장에서의 한국의 점유율은 0.8%p 하락했다.(17년 7.7% → 20년 6.9%) 이 기간 중국은 미국과의 무역전쟁으로 미 직접수출이 어렵게 되자 신남방국가에 대한 수출이 확대되고 우회 수출기지로 활용함에 따라 점유율은 2.4%p 상승(17년 20.0% → 20년 22.4%)했다. 한국보다 1년 앞서 16년부터 신남향정책을 전개한 대만의 경우는 0.2%p(17년 5.4% → 20년 5.6%) 상승했다. 한편, 이 지역 전통 강자인 일본의 시장점유율은 0.7%p 하락(17년 8.9%, 20년 8.2%)했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신남방이 미-중 패권전쟁의 격전지로 떠오르며 중국, 일본 등이 전체 아세안 국가를 대상으로 안보․경제외교 역량을 균형 있게 집행하고 있는 반면, 한국은 이들 국가와 비교하여 아세안 전체 수출 중 베트남 의존도(19년 기준 수출 51%)가 지나치게 높다.”고 지적했다.

이어 “베트남 이외 아세안 국가로 수출시장이 다변화될 수 있도록 통상당국은 4월 국회 제출된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에 대한 조속한 비준․발효, 금년 2월 협상타결 한-캄보디아 FTA의 조속한 비준․발효, 역내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 비준 등 적극적 통상전략을 전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